센터소식(340)
-
제3회 평화군축박람회가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지난 9월17일부터 23일까지 서울광장에서 열렸덩 제3회 평화군축박람회가 성황리에 마쳤습니다.이번 행사는 저희 센터를 비롯한 전국단위의 평화단체들이 모여 주최했습니다. 행사는 전시마당 이야시마당 참여마당 공연 영상마당 판매마당 등 다체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제주해군기지 문제를 재미있게 알릴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2012.10.02 -
지금 평화를 이야기 하자-제3회 평화군축박람회
9월 21일 UN 세계 평화의 날입니다. 이에 맞춰 평화를 말하고자 하는 단체들이 평화군축박람회를 열었습니다. 텔레비전은 말해주지 않는 분쟁 뒤 이야기를 들려주고, 아이에게 총이 아닌 평화책을 권하는 자리입니다. 무기의 성능이 아닌 무기의 살상이 초래하는 비극, 그 비극을 겪는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양한 고민을 함께 나누는 자리가 될것입니다. 다양한 생각을 보고 듣고 만지고 느끼고 즐기면서 정부가 말하는, 전문가가 말하는 ‘국가’의 ‘안보’가 아니라 ‘우리, 인간’의 ‘안전’에 대해 ‘지금’ 이야기하는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강정마을에 건설되고 있는 해군기지는 아시아 평화에 나쁜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한데도, 무리하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제주는 생명평화의 섬으로 남아야 한다는 목소리는 해군기지를 밀어붙..
2012.09.21 -
제주 해군기지 반대 국제행동주간 평화선언
제주 해군기지 반대 국제행동주간 평화선언 동아시아의 바다를 평화와 협력의 바다로 만들자! 제주도를 전쟁의 섬이 아닌 세계 평화의 섬으로 만들자! 우리는 오늘 서태평양의 아름다운 섬 제주도 강정마을에 주민의사에 반하는 거대한 해군기지가 건설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왜 평화와 번영의 이름으로 전쟁과 파괴가 반복되는지 진지하게 되묻고자 한다. 지난 20세기는 전쟁과 군사화의 세기였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이 일어났고 냉전의 시대가 뒤를 이었다. 냉전시대에도 수많은 크고 작은 전쟁이 연이어 일어났다. 그 갈등의 유산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전 세계 곳곳을 분쟁의 화약고로 만들고 있다. 제주도와 한반도가 포함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역시 지구상에서 가장 격렬한 전장의 하나였다. 제주도는 제2차 세계대전(태평양 전쟁) 과..
2012.09.03 -
강정, 평화를 노래하라! ( PEACE CONSERT ) 초대합니다
강정, 평화를 노래하라! ( PEACE CONSERT ) 더 이상 강정은 하나의 작은 마을이 아닌 평화의 상징으로 지켜져야 할 우리의 염원임입니다. 구럼비 발파 이 후, 흘렸던 눈물과 상처를 씻고, 흩어졌던 마음을 모아, 다시 하나가 되는 희망의 노래를 부르고 평화의 춤을 함께 추는 열정의 콘서트에 함께해 주세요. 일시 : 2012년 8월 4일, 토요일 7시 장소 : 제주시 탑동광장 사회자 : 김미화 출연진 : 들국화, 안치환, 사이 등.
2012.07.25 -
강정평화 1만大행진
강정평화 1만大행진제주 해군기지 문제로 6년째 아파하고 있는 강정마을을 위해2012년 7월말, 1만명이 제주도를 함께 걷는 강정평화大행진을 개최합니다.강정마을 문제는 해군기지 찬성/반대를 떠나서,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참여해야 하는우리시대의 가장 아픈 이웃입니다. 1만명이 함께 걸으면 강정마을 지켜낼 수 있습니다!! - 일정 : 2012년 7월30일(월) - 8월4일(토) 5박6일 (부분참가 가능) - 개요 : 7월30일 강정마을을 출발한 두 개의 행렬(동진, 서진)이 제주도를 반바퀴씩 돌아 8월4일 제주시로 집결하는 범국민대행진!! 7/30~8/4 강정 평화대행진 중 참가비 ▶ 1박 이상 참가자 - 성인 1인당 참가비 2만원 - 참가비에는 기념티셔츠(1만원 상당)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1박..
2012.07.05 -
해군기지 공사중단을 위한 청원을 19대 국회 1호로 접수했습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는 적절한 평가 없이 각종 규제를 편법적으로 완화한 채 공사를 강행하고 있으며 천혜의 자연유산에 심각한 파괴를 가져올 것이 명확함을 알리고 예산삭감과 국정조사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제주와 세계평화를 위한 10만송이 청년들'과 6월 5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해군기지 2013년도 예산삭감 국정조사를 위한 국회청원 서명을 받고 제출했습니다. 5월 30일 제주 해군기지 공사중단을 위한 청원을 19대 국회 1호로 접수했고 4월 1일부터 2달에 걸쳐 진행된 국회청원운동은 서울과 제주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졌습니다.
201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