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강정의 평화가 우리의 평화입니다 “강정의 평화가 우리의 평화입니다.” - 2013년 강정 생명평화대행진 참여를 호소 드립니다. 기/자/회/견/문 강정의 생명평화를 기원하는 대행진이 시작됩니다. 오는 7월 29일부터 8월 4일까지 6박 7일간 제주를 걸으며 평화를 향해 뜨겁게 제주도민들을 만나고자 합니다. 올해 강정 생명평화대행진은 전국에서 100여개의 단체가 함께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8월 4일에는 강정에서 평화를 기원하는 인간 띠잇기 행사도 마련했습니다.강정의 평화를 위해 다함께 모여서 외치고자 합니다. 이미 강정은 제주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 평화의 문제로까지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정자들은 여전히 군사작전하듯 공사강행만을 하고 있을 뿐 강정주민들과 평화를 바라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배제하고 있습니다. 탄압만이 해결책인 듯 박.. 더보기
2013 강정생명평화대행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13 강정생명평화대행진에 여러분을 초대 합니다. 강정의 생명평화를 기원하는 대행진이 시작됩니다. 오는 7월 29일부터 8월 4일까지 6박 7일간 제주를 걸으며 평화를 향해 뜨겁게 제주도민들을 만나고자 합니다. 우리가 생명평화대행진을 떠나는 이유는 간명합니다. 있는 그대로의 평화가 강정의 평화입니다. 평화는 무기가 아니라 평화로 지켜야 한다는 열망을 도민과 나누고자 합니다. 잘못된 제주해군기지는 함께 막아야 한다는 것을 호소하고자 함입니다. 여전히 강정은 싸우고 있습니다. 현장을 지키며 서로 격려하고 노래하고 춤추며 즐겁게 싸우고 있습니다. 폭력과 강압으로는 주민의 저항을 잠재울 수 없고, 평화와 정의를 향한 연대의 발걸음을 멈추게 할 수도 없습니다.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에서 제주해군기지를 저지하기 .. 더보기
2013제주평화박람회-지금 평화를 이야기 하자 지난 5월 28일부터 29일까지 양일간 제주시 벤처마루 앞 마당에서 “지금 평화를 이야기하자”라는 주제로 열린 2013제주평화박람회가 군축과 평화에 대한 이슈를 거리에서 말할 장을 마련했습니다이번 박람회에서는 두 가지 상설 전시를 열었습니다. 에서는 값비싼 무기로는 평화를 살 수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군인 아닌 민간인 살상을 목적으로 한 ‘확산탄’과 ‘무인공격기’의 비인도성을 알리고, 미국이 대한민국의 합류를 요구하는 MD전략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짚어 보았습니다. 시민의 세금이 값비싸고 비인권적인 무기를 구매하는 데에 쓰이기보다 복지에 쓰이고, 경제 살리는 데 쓰이면 어떨까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은 설문대어린이도서관과 인문학도서관서유당 협찬으로 평화를 이야기하는 책 250여 권을 거리 전시했습니다. 제주.. 더보기
일본의 성소수자 우에다치히로 씨를 초청하여 지난 4월15일 행복나눔공동체 2층 강의실에서 제주녹색당,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제주여성인권연대, 제주평화인권센터, 철학카운슬링연구소, 청춘어람, 통합진보당, 진보정의당, 진보신당이 공동으로 주최하여 일본의 성소수자 우에다치히로 씨를 초청하여 성소수자들의 인권과 삶에 대해 들어보면서, 성소수자에 대한 기존의 관념을 탈피하고 그들의 생활 속 고통을 공유하면서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뿐만 아니라 성소수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버리고 차별을 없앰으로써 함께 사는 제주, 인권공동체 제주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더보기
[GDAMS 뉴스레터③] [GDAMS 뉴스레터③]거대 괴물에 태클걸기: 세계군축행동의날 개요 콜린 아처(Colin Archer), 국제평화기구(International Peace Bureau: IPB) 사무총장 군사주의라는 거대 괴물에 우리는 여러 방법들로 도전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특정 무기체계 예를 들어 핵무기, 대인지뢰/확산탄, 소형무기 그리고 아주 최근에는 무인공격기와 같은 무기들에 대한 상당한 수의 캠페인 집단들이 성장해왔다. 그 외에도 징병제, 군사기지, 전쟁 관련 세금, 무기거래와 같은 문제에 많은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세계군축행동의날(GDAMS) 캠페인은 이러한 군사주의 문제의 경제적인 측면, 특히 공공 지출과 관련한 부분에 집중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IPB(GDAMS 사무국)의 입장에서는 GDAMS 캠페.. 더보기
우리는 간다. 강정과 함께 걸으러 간다. 강정이 다시 일어선다. 일어나 걷는다.우리는 간다. 강정과 함께 걸으러 간다. 올해로 제주 해군기지 건설 저지 투쟁이 7년째를 맞았다. 그동안 강정에는 제주를 사랑하는, 평화를 염원하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였고, 연대했고, 싸워왔다. 정부는 불법과 편법으로 주민동의 없이 강정마을에 해군기지 건설을 추진했고, 공권력을 앞세워 기지건설을 밀어붙여 왔다. 주민들의 항의에 이유가 있다는 사실은 곧 밝혀졌다. 2011년 정기국회는 여야 합의로 해군기지의 설계오류를 확인했고, 총리실 주도의 기술검증위원회 역시 ‘설계오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총리실은 항로를 일부 변경하고 부두 내부 설계를 일부 변경하는 미봉책을 세우고 요식행위에 불과한 2차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마치 문제가 해결된 것처럼 꾸몄다. .. 더보기
한 쪽엔 주먹 다른 한 쪽으로는 대화 이것이 해군이 말하는 상생인가! 한 쪽엔 주먹 다른 한 쪽으로는 대화이것이 해군이 말하는 상생인가! 손정목 해군참모차장이 7월1일 강정에 와서 찬성 측 주민들을 만났다. 그리고 이튿날인 7월2일 오전 10시에 강정마을회 임원들과 주민들하고 간담회를 하고 싶다고 통보해 왔다. 지역주민과 상생하겠다고 하는 해군이 강정마을회 대다수의 주민들의 동의를 얻은 대의기관인 강정마을회보다 먼저 찬성 측 주민을 만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처사이다. 이는 지역주민과 상생은커녕 찬반의 갈등만을 조장 할 뿐인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어제 불법공사를 해상감시하던 송강호박사와 박도현 수사를 업무방해의 이유를 들며 납치하듯 체포해 갔다. 당시 제주해군기지 공사현장 서방파제 오탁방지막의 경우 막체를 펼치지 않아서 사실상 오탁방지막이 없는 상황이나 다름없었.. 더보기
제3회 세계군축의 날 캠페인에 함께했습니다 지난 4월15일 제3회 세계군축행동의 날(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을 맞아 국내 시민사회단체들이 올해 정전 60주년이 되어서도 여전히 전쟁발발 위기를 겪고 있는 한반도와 이로 인해 동북아 군비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고, 시민사회와 국회가 함께 남북 서로를 향해 겨눈 총을 내리고 평화를 선택할 것을 촉구하는 행사를 열었습니다. 지난해 말 북한의 위성발사와 올해 3차 핵실험 이후 남북, 북미 간 갈등은 격화되기 시작하여 서로에 대한 군사적 위협과 적대행위가 갈수록 고조되어 일촉즉발의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과 남북 군인의 서로 겨눈 총을 내린 이후 포옹하는 장면은 우리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는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이.. 더보기